본문 바로가기 보조메뉴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바로가기

상담문의

베이비부머 칼럼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프린트

초량왜관연구회 동래부사접왜사도를 따라서

고객 소리함 게시판 읽기
작성일 2019-07-29 조회 1486
첨부

초량왜관연구회 동래부사접왜사도를 따라서

부산역사의 길 핵심투어



   부산을 지키는 사랑 초량왜관연구회에서는 2019 글로벌 역사문화도시 부산 알리기(핵심)투어로 동래부사접왜사도를 따라서
◆역사문화도시 투어답사길
출발및집결: 수안치안센터→동래부동헌→송공단→장관청→동래구청주차장(버스승차)→자성대(금루관,진남대)→정공단→초량왜관설문→초량왜관종합안내판→초량왜관동관(수문,응방,재판가,개시대청,관수가터)→초량왜관서문(삼대청,육행랑)

  동래부사 접왜사도는 조선정부를 대표하는 관리가 초량객사로 행차하는 모습, 왜사 숙배식을 치르는 모습 일본사신을 위해 조선 측에서 마련한 연향의 모습 등을 화폭에 담은 그림이다. 동래부사가 일본사신을 접대하기 위해 초량의 왜관으로 행차했던길을 시작으로 임진왜란 때 순절한 동래부사 송상현(1551~1592) 공을 모신송공단과 부산첨사 정발(1553~1592) 장군을 모신 정공단을 거쳐, 초량왜관 설문을 지나 초량왜관삼대청(관수왜가,재판왜가,개시대청)과 응방,신당의 흔적을 찾아 역사의 경계와 변화의 의미를 되돌아 보기로 한다. 2019.7.26.(금) 2시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치안센터앞 동래부객사터 표지석에서 부산역사의길 투어를 실시하였다. 이번 첫 투어 해설은 초량왜관연구회 강석환회장님의 해박한 해설로 사전에 답사신청을 하신 40여명 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되었다. 먼저 동래(도호)부 동헌은 일명 아헌 이라고도 하며 수령의 살림집을 내아 라고 하는데 조선시대 도호부의 부사가 직접 공무를 처리하던 장소로서 이청, 무청, 향청, 등 각종 관아 건물 의 중심이 된 건물 로써 충신당, 독진대아문 망미루, 외삼문 고마청등 이 있는 곳으로 충신당은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호이다
부산지방에 남아 있는 조선시대의 단일건물 중 가장 규모가 크고, 유일하게 남아 있는 동헌으로 조선후기의 건축물이다.

 두번째답사
송공단 으로 이동하였다. 부산을 지키기 위해 몸바친 순국선열 분들께 왜관연구회에서는 술과 북어포 대추 밤 등 례를 올리는 제수를 준비해와 참석자 전원 묵념을 올렸다. 이날 일일부사와 일일첨사를 투어객중의 한분을 지정 하여 예를 올리는 직접 체험도 하였다. 장관청의 동래 기영회 뜻깊은 이야기도 들으며 도심속에 고즈녁한 고택에 앉아 있으니 마음이 편안하기도 하였다. 세병교 하마정경유 양정 모넘어 고개의 유래와 송상현동상과 서면을 통과 자성대와 부산진성 조선통신사 역사관 정공단 두모포왜관이 있었던 구관터를 답사후 동래부 부산진의 초량촌에 있었던 설문자리가 초량동 차이나타운의 현(홍성방) 중국집앞 설문은 초량왜관으로 들어오는 정문이었다는 설명을 듣고  중앙동으로 이동하면서 옛 초량객사터 영주동 (현)봉래초등학교자리 초량객사는 국왕을 상징하는 전패가 있는 건물이므로 건물의 변형, 훼손, 퇴락, 등을 방지하기 위해 자주 수축, 증축, 개축을 하였다. 일본 사절이 오면 조선 국왕에 대해 숙배례를 하던 곳이었다. 조선후기 부산광역시 광복동, 신창동, 중앙동, 대청동 일대에 있었던 초량왜관은 조선전기 부산포 왜관, 임진왜란 직후 설치된 절영도 왜관, 1607년(선조40) 조성된 두모포 왜관에 이은 네 번째 왜관이다,

조선후기 왜관은 조선과 일본의 외교와 무역이 진행된 곳으로, 대마도에서 온500여명의 성인 남성이 거주 하였다. 조선 전기 왜관에 가족을 동반하던 것이 임진왜란 이후에는 금지 되었다. 부산에는 약 500년 동안 왜관이 있었다. 초량왜관은 1678년부터 1876년까지 약 200년 동안 존재하였다. 그 전에는 동구청 일대에 1607년부터 1678년 까지 두모포왜관이 있었다. 신관인 초량왜관과 달리 두모포  왜관을 구관이라 부른다. 동구에 남아 있는 고관이란 지명은 이 왜관을 가리킨다. 1601년부터 1607년까지 영도에 절영도 왜관이 있었다. 부산의 왜관 역사는 그보다 훨씬 오래됐다. 부산에 왜관이 설치된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대체로 1407년 부터로 보고 있다. 자성대 부근에 있었던 왜관이 부산포왜관이다. 1407년 제포( 내이포. 웅천현)부산포 (동래현)가 개항되고, 1423년 염포가 다시 개항되면서, 삼포개항 왜관의 시대가 열렸다. 조선전기에는 삼포가운데 제포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 하였다. 그다음 부산포 염포 순이다. 1544년 사량진왜변으로 부산포 한곳만 열리고 1547년 정미약조로 제포 포구왜관이 폐쇄되었다. 부산포 단일 포구. 왜관 시대가 열린 것이다. 동래는 일본사신이 들어오는 첫 길목이자 유일한 공간 이었으므로 1547년 종3품 동래부사가 파견되는 지역으로 승격되었다. 부산에는 1407년부터 1876년 까지 470년 동안 왜관이 있었다. 초량왜관 공간은 용두산공원을 중심으로 동관 서관으로 나뉘어 담장으로 둘러쌓여 있는 부지가 10만평의 부지에 동관에서의 대표적인 중심건물을 동관삼대청이라고 하고, 서관에도 서관삼대청이 있었다. 동관, 서관 삼대청은 모두 조선에서 세운 조선식 건물이었다. 동관 삼대청은 초량왜관 안에서 제일 큰 건물인 관수왜가, 재판왜가. 개시대청 이며 서관 삼대청은 동대청, 중대청, 서대청 이었다.
부산에 있던 네 곳의 왜관중 초량 왜관은 200여년이 넘게 존속되었다. 초량왜관연구회는 2009년10월에 봉생문화재단 창립20주년 심포지엄에서 초량왜관연구회를 위한 모임 필요성 논의를 한 후 최차호(전)회장님, 강석환(현)회장님, 불교방송 진영조부장님, 그린트러스트 이성근님 등 네 분 께서 초량왜관연구회 발족을 마음모아 2010년  2월에 초량왜관연구회 창립총회후, 초대회장으로 최차호 피선, 회칙통과 3월에 재일 부학주 교수초청, 초량왜관건축과 역사적경관 강연회개최후, 4월에는 부산대학교 김동철교수초청 초량왜관변천사 강연회개최후 격월재로 현장답사및 회원발표실시, 2013년 초량왜관복원 왜 필요한가? 주제로 한일 공동 심포지엄 개최, 2014년 4월 초량왜관연구회 비영리민간단체 등록 초량왜관연구회뉴스레더 “새띠벌의 메아리“ 창간준비위 발족 계간지로 발간 2014년3월 새띠벌의 메아리 창간호 발간후 봄, 여름, 가을, 겨울호 발간 완료(A4판) 2015년 1월 최차호 전회장님 초량왜관 출판기념회 개최 2016년 2월 정기총회 개최 현 강석환회장취임 매월 연구발표회실시 등 그 외 많은 활동들을 다 열거 할 수가 없어 생략한다. 매주 마지막주 수요일 저녁6시30분 한성1918에서 월례회를 개최하며 122명의 회원들로 구성된 초량왜관연구회는 오래전 일본과의 무역 문화교류를 했던 부산의 역사를 되새기고 다양한 활동들을 하고 있다.

 이번 글로벌 역사문화도시 부산 알리기(핵심)투어는 2차8/23(금),3차9/27(금)4차10/25(금)5차11/22(금) 2차에서 5차까지 진행한다. 참여를 원하는분은 언제든지 신청가능하다. 초량왜관연구회 부산시 중구 충장대로 5번길 42 정원B/D501호 대표전화: 051-731-3400 사무국장 010-9329-0964


송명옥 기자 wndhks2000@naver.com


댓글

  • 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쓰기 - 타인을 비방하거나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