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책보도]
- 오륙도에서 5G 실감미디어를 체험하세요!- 부산시, 「5세대 통신기술 기반 실감미디어 홍보관...
50+라이프 > 정책보도2019.11.22
◈ 11.22. 11:00 오륙도 해파랑길 관광안내소에 5G 실감미디어 홍보관 개소 ◈ 부산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가코리아 사업으로 「5G 기반 인턴렉티브 실감미...
-
[정책보도]
- 오거돈 시장 “부산이 동북아 중심지로 부상할 수 있도록…”- 이낙연 국무총리, 사상구...
50+라이프 > 정책보도2019.11.22
◈ 오늘(21일) 이낙연 국무총리, 정부 공모에 당선된 부산시 도시재생사업장 전격 방문 ◈ 사상구 괘내생태문화마을·영도 깡깡이마을 방문한 이낙연 총리 “도시재생 ...
-
[정책보도]
- 부산에서, 대한민국 환경교육 성과 교류의 장이 열린다- 「제15회 대한민국 환경교육 한마당...
50+라이프 > 정책보도2019.11.22
◈ 11.22.~23. 부산역 광장 부산유라시아플랫폼에서, 전국 환경교육 관계자 500여 명 참석 ◈ 정책간담회, 심포지엄 외에 환경교육 어울림마당, 프로그램 경진대회...
-
[정책보도]
-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으로 미래 부산 일자리 창출 모색- 부산시, 「바이오헬스 지역 상생 발전...
50+라이프 > 정책보도2019.11.22
◈ 11.22. 14:00 해운대백병원 5층 대강당에서, 기업‧병원‧기관‧대학 관계자 100여 명 참석 ◈ 바이오헬스의 최신 트랜드 및 현장의 비즈니스 모델...
-
[정책보도]
- 아·태지역 장애청소년들, 부산에서 만나다!- ‘2019 글로벌장애청소년아이티(IT)챌린지...
50+라이프 > 정책보도2019.11.22
◈ 11.25.~29. 부경대학교 용당캠퍼스에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기념 ‘2019년 글로벌장애청소년아이티(IT)챌린지’ 개최 ◈ 아시아·태평양 지역 장...
-
[정책보도]
- 다문화가족과 함께하는 ‘김장나눔문화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성공개최 기원
50+라이프 > 정책보도2019.11.22
◈ 11.25. 10:30 삼광사 앞마당에서 다문화가족과 일반 시민 등 1천여 명 참가하는 ‘김장나눔문화제’ 열려 ◈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성공 기원하며 지...
-
[정책보도]
- 맘껏 놀고 싶은 친구들, 여기로 모여라!- 아동 놀 권리 회복 프로젝트! 여기서 맘껏 놀~자 우...
50+라이프 > 정책보도2019.11.22
◈ 11.22. 16:00 동구청 구민다목적홀에서 ‘여기서 맘껏놀~자 우리동네편’ 첫 놀이 진행 ◈ 매월 둘째, 넷째 주 금요일 오후 4시에 놀이 진행… 부...
-
[정책보도]
- 창령사 터 오백나한, 당신의 마음을 닮은 얼굴- 과거의 문화유산과 현대미술의 콜라보레이션
50+라이프 > 정책보도2019.11.22
◈ 11.28.~2020.2.2. 67일간, 부산박물관·국립춘천박물관 공동으로 특별전 개최 ◈ 국립춘천박물관 소장 <영월 창령사 터 오백나한상> 50점과 ...
-
[정책보도]
-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정상들에 ‘평화의 종’ 선물- “부산에서 평화가 울려 퍼집니...
50+라이프 > 정책보도2019.11.21
◈ 부산시,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참가국 정상들에 ‘평화의 종’ 제작․선물 ◈ 각국 정상 배우자에는 ‘2019 부산대표관광기념품...
-
[정책보도]
- 오거돈 시장, 내년 국비확보 위해 총력전- 국회 예결위·기재부 등 관련 인사 연달아 방문
50+라이프 > 정책보도2019.11.21
◈ 20일 국회 방문해 국회 예결위, 기재부 등 국비 관련 핵심관계자 개별로 만나 ◈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후속사업, 2030부산월드엑스포 준비사업 등 당위성 집중...
-
[정책보도]
- 녹색도시 부산, 숲의 도시 부산은 이미 시작됐습니다.- 부산시, 다양한 도시숲 조성을 위한 푸른 노력
50+라이프 > 정책보도2019.11.21
◈ 부산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개최를 맞아 민선7기 역점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숲의 도시 부산만들기’점검결과, 2019년 한해 91개사업 772억 원 투입...
-
[정책보도]
부산시, 지방세 및 지방세외수입금 고액․상습 체납자 명단 공개
50+라이프 > 정책보도2019.11.21
◈ 11.20. 9:00 체납발생일로부터 1년 지난 1천만 원 이상 지방세 고액․상습 체납자 551명 명단과 지방세외수입금 고액․상습 체납자 85명 명단 공개 ...